공지사항
질병관리본부에서는 A형간염에 대한 표본감시결과 지난해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했다고 합니다.
시도별로는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과 광주, 전북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A형간연은 바이러스에
의해 전파되는 수인성전염병으로 환자감시 대상인 지정전염병입니다.
= 전파경로=
- A형 간염 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물에 의해 전파됨
- 환자의 대변을 통한 경구감염, 주사기를 통한 감염, 혈액제제를 통해 감염
- 환자을 통한 가족, 친척에게 전파되며 집단생활을 하는 군인, 고아원, 탁아소에서 집단발생함
= 임상증상=
- 발열, 식욕감퇴, 구역, 구토, 쇠약감, 복통, 설사등 다른 바이러스 간염과 유사
- 소아에서는 증상이 없는 불현성감염을 보이며 연령이 높을수록 증상이 심해짐
= 예방법=
- 손씻기, 식수원오염방지, 식품 및 식품 취급자 위생관리
- A형간염 백신 접종 : - 유행지역으로의 여행자 및 장기체류자
- 주기적으로 A형간염 집단 발생하는 A형간염 유행지역의 소아
- 남성 동성 연애자
- 직업적으로 A형간염에 노출의 위험이 있는자
- 만성 간질환 환자
- 혈우병 환자
본 페이지의 관리부서는 보건정책과 보건행정팀 (☎054-679-6711)입니다.최종수정일 : 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