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뉴스
제목안구건조증 예방관리수칙
눈이 뻑뻑하고 아픈 증세를 보이는 안구건조증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최근 7년간 두배 이상 급증해 150만명을 넘었습니다. 안구건조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특별한 예방법이 없으나 안구건조증의 증상이 악화되지 않도록하거나, 안구건조증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꾸준히 잘 관리해야 합니다.
안구건조증(건성안) 예방관리 수칙
1. 건조하기 쉬운 계절이나 사무실에서는 가습기 등을 이용하여 실내의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실내 온도가 과하게 올라가지 않도록 조절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컴퓨터 사용자는 모니터를 자신의 눈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하며 조명은 직접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도록 설치합니다.
3. 근거리 작업 중 휴식을 짧게 자주 가지고 작업 도중에도 가끔씩 의식적으로 눈을 깜박여 주는 것이 좋습니다.
4. 우리 몸이 피곤할 경우 눈물 분비의 저하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과로나 스트레스를 피하도록 노력합니다.
5. 콘텍트렌즈는 각막을 덮고 있어 눈물막의 정상적인 형성을 방해하고 안구건조증을 유발 혹은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안구건조증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6. 5-10분 정도 따뜻한 물수건으로 온찜질을 하거나, 눈꺼풀 세정제를 희석하여 속눈썹이 난 부분에 약간 힘을 주어 누르면서 문지르고 다시 따뜻한 물로 세척하는 방법 등을 통하여 안검염을 예방합니다.
7. 오메가 -3가 많이 들어 있는 생선류나 견과류 등의 섭취를 늘리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8. 눈물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을 복용 중일 때에는 주치의와 상의하여, 가능하다면 안구건조증의 증상에 영향을 적게 주는 약물로 바꾸는 것을 고려 하는 것이 좋습니다.
본 페이지의 관리부서는 보건정책과 보건행정팀 (☎054-679-6711)입니다.최종수정일 : 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