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발전방안 및 참고자료
발전방안
성이성(成以性). 그는 이 시대의 가장 절실히 요구되는 청백리이며, 하얀 선비이자 눈꽃처럼 고결한 선비의 상이다. 봉화가 길러낸 계서선생. 목민관의 최고 모범이요. 조선과 경상도, 전라도 등의 관리로서 역사의 현장에서 가는 곳 마다 숱한 치적을 남겼으며, 백두대간의 정기를 머금고 태어난 <춘향전>의 주역 이몽룡의 고을. 조선시대의 정신을 배우고 묵어갈 수 있는 건강한 정신문화가 살아 숨쉬는 청정문화의 도장으로, 청정문화와 유학정신을 이어갈 수 있는 문화관광 봉화로 가꾸어 나가는데 전력하여야 하겠다.
세계화, 개방화의 물결과 지방자치제의 시행으로 지역의 균형발전에 대한 군민적 요망 및 삶의 질 향상 등 국내외의 여건 변화와 , 지역의 관광 수급 실정을 고려하여 각종 다양화하는 관광수요에 효율적인 공급체계를 구축하고 경유형의 관광유형을 체류형으로 전환시키고 관내의 전통사찰 유·무형의 문화관광 자원을 연계 발전시키고, 인근 시군의 부석사, 소수서원, 하회마을, 도산서원 및 동해권의 관광자원과 관광 루트화 하는 제반 여건을 조성 봉화군의 획기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먼저 역사적 사실 및 고증작업을 충실히 한 후 관련 가문의 종중과 행정기관의 협의가 우선되어야 할 으로 보이며. 관련 유적지에 대한 구체적인 개발 방안을 강구하여 관광 명소화의 여건 조성, 관련 문화행사 개발, 관련 시(市와)의 자매결연 및 각종 문화행사의 교류등 다각도로 연구추진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됨.
참고문헌
- 仁祖實錄
- 國祖榜目
- 嶺南人物考
- 昌寧成氏世譜
- 典故大方全
- 南原市 홈페이지. 韓國史大事典(교육도서간)
- 鄕土紙(宋志香 편저,驪江出版社, 1987)
- 奉化의 村落과 地名(奉化郡)
- 文化遺蹟要覽(奉化郡)
- 奉化郡誌(奉化郡, 1988)
- KBS 홈페이지
- 시사저널지 '99. 1. 2.자
- 朝鮮日報 등 關聯報道 新聞
- 韓國古傳文學全集(良友堂, 1979),
- 韓國古傳小說選(韓國放送通信大學, 1986)
- 韓國文學史(大韓民國藝術院, 1984)
- 學習百科大事典(株, 金星出版社, 1994.)
- 가은유고(稼隱遺稿) 등.
본 페이지의 관리부서는 문화관광과 문화유산팀 (☎054-679-6331)입니다.최종수정일 : 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