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개요
작자.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또 조경남(趙慶男)이란 설(설성경)이 있다.
소설의 이본(異本)이 120여종이나 되고, 제목도 이본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단일 작품이 아닌 작품군인 '춘향전군(春香傳群)'이라고 보아야 한다. 판소리로 불리다가 소설로 정착되었으리라고 보이는 판소리계 소설의 하나이나 문장체 소설로 바뀐 것도 있고, 한문본도 있다. 창극·신소설·현대소설·연극·영화 등으로도 개작 되었다.
한국문학 작품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지고 사랑 받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 또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여러 가지 문제점이 거듭 논란되었다. 남원부사의 아들 이도령과 기생의 딸 춘향이 광한루에서 만나 정을 나누다가, 남원부사가 임기를 끝내고 서울로 돌아가자 두 사람은 다시 만날 것을 기약하고 이별한다. 그 다음에 내려온 신관(新官)이 춘향의 미모에 반하여 수청을 강요한다.
그러나, 춘향은 일부종사(一夫從事)를 앞세워 거절하다 옥에 갇혀 죽을 지경에 이른다. 한편, 이도령은 과거에 급제하여 어사가 되어 신관 부사를 탐관오리로 몰아 봉고파직(封庫罷職)시키고 춘향을 구출한다. 이도령은 춘향을 정실부인으로 맞이하여 백년해로를 한다.
그런데 이본에 따라서 춘향이 다르고, 춘향과 이도령의 결연이 가지는 성격에 차이가 있다. 신관 부사가 춘향에게 수청을 강요한 것이 얼마나 부당하냐 하는 점도 일정하지 않다. 이 작품은 설화를 소재로 하였을 것으로 생각되어 근원설화(根源說話)탐색이 여러모로 이루어 졌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신원설화(伸寃說話)남원에 춘향이라는 기생이 있어 아자제도령을 사모하다가 죽었으므로 원귀가 되어 남원에 재앙을 가져오므로 액풀이하는 제의설(祭儀說두)에 근원을 두고, 양진사(梁進士)가 제문으로 창작하였다는 설
암행어사실화(暗行御史說話)노진(盧縝), 조식(曺植)·성이성(成以性)·김우항(金宇杭)·박문수(朴文秀) 등의 고사에서 야담으로 형성된 암행어사 출두의 설화가 <춘향전>이 부연되었다는 데에서 <춘향전>이 그 주제를 따왔다는 설
- 조선조 야담에 보이는 도령과 기생과의 애련설화에 근원을 두고 있다는 설(成世昌의 설화가 이에 해당된다.)인데, 이는 <춘향전>전반부의 제재를 형성한다고 보았다.기타 설화<춘향전>속에 삽입된 제재로서의 춘향이 이도령에게 수기(手記)를 받는 이야기, 춘향이 판수에게 해몽을 청하는 이야기, 암행어사 출두장면에서 이 어사의 '금준미주(金樽美酒)'한시의 작시(作詩) 설화 등이 조선조 야담에 나옴으로써 이를 수용하였다는 설
- 이들 설화가 열녀설화(烈女說話) 및 조선조 유교윤리와 결부, <춘향전>생성의 제재가 되었다고 보는 설 등이 있다.본 페이지의 관리부서는 문화관광과 문화유산팀 (☎054-679-6331)입니다.최종수정일 : 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