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유적

  • 지정내역: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 지정년월일 : 1974년 12월 10일
  • 소재지 : 봉화군 명호면 청량산길 199-152

청량사 유리보전

명호면 북곡리 청량산 한가운데 자리한 청량사는 신라 문무왕 3년(663)에 원효대사가 창건했다는 설과 같은 해 의상대사가 창건했다는 설이 전하는 고찰이다. 한때는 연대사를 비롯한 27개의 암자가 있어 불교의 요람을 형성하였다고 한다. 여러 차례의 전란을 겪으며 증·개축이 이루어져 정확한 건립 연대는 알 수 없으나, 건물의 구조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형태이며, 다포계와 주심포계를 절충한 양식을 띠고 있어 조선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공포는 외1출목 내2출목 형식으로, 첨차의 짜임이 고졸하며 쇠서의 내부 끝에는 연화 및 용수형 조각이 새겨져 있다. 또한 정면 중간 기둥 위에는 용두와 용미를 주두 밑에서 내외로 뻗게 하였다. 내부는 판상 구조이며, 천장은 우물반자로 이루어져 있고, 운궁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건물의 큰 보 밑에 간주를 세워 후불벽을 구성한 특징은 다른 건물에서는 보기 드문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현재 유리보전 내부에는 본존불인 건칠약사여래좌상(약사여래불, 보물)과 좌협시 건칠보살좌상(문수보살,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우협시 관세음보살이 봉안되어 있다. 또한, 유리보전의 현판은 고려 공민왕의 친필로 전해진다. 한편, 지장보살은 새로 지어진 지장전에 봉안되었으며, 이곳에는 목조지장보살삼존상(보물)이 모셔져 있다.

응진전

현재 청량사(淸凉寺)의 부속 건물로 금탑봉 중간 절벽에 위치해 있다. 금탑봉 중간절벽 동석(動石) 아래에 위치해 있었던 청량사의 부속 건물의 하나였을 것으로 보인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주심포계(柱心包系) 맞배기와집으로 내부에는 16나한이 봉안되어 있다. 앞뒤가 모두 천길 절벽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뒤쪽 절벽위에는 동풍석(動風石)이 요사체 옆의 절벽 사이로는 감로수(甘露水)가 흘러나온다. 또한 법당 앞에 사방을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가 있는데 주세붕은 자신의 자(字)를 따서 경유대(景遊臺)라 이름하였다.

태자사 낭공대사 백월서운탑비

신라 효공왕과 신덕왕의 왕사(王師)였던 낭공대사(崔行寂, 832-916)의 행력을 기록한 탑비로 안동시 도산면 태자리 태자초등학교 교정(太子寺 터 부근)에 있다. 현재 비신은 없고 방형의 지대석위에 귀부를 얹고 그 위에 이수를 올려놓은 형태로 있다. 비신은 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에 보관되어 있다. 비문은 한림학사를 역임한 최인연(崔仁?)이 왕명을 받들어 짓고 승려 단목(端目)이 김생(金生, 711-791)의 글씨를 집자(集字)한 것을 고려 광종 5년(954)에 세웠다고 한다. 이 탑비가 청량산 부근에 존재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김생이 청량산에 들어와 글씨공부를 했다는 사실을 뒷받침 해주는 중요한 근거가 되고 있다. 즉 태자사지는 청량산과의 거리가 얼마 되지 않아 탑비의 글씨를 집자하는 것이 유리하였다는 점과 이세택(李世澤, 1716-1777)이『청량지(淸凉誌)』를 간행할 당시(1771년)만 해도 김생이 쓴 금은자불경이 연대사에 남아 있었다는『청량지』의 기록을 통해 청량산에서의 김생의 행적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

사지

청량산과 관련한 기록을 보면 청량산에는 연대사를 중심으로 대소의 20여개의 암자가 있어 불교의 요람을 형성하고 있었다고 한다. 주세붕이 청량산을 유람하고 남긴 『유청량산록』에서는 자소봉 아래 11개, 경일봉 아래 3개, 금탑봉 아래 5개 등 19개 암자에 대한 기록이 전하고, 1608년에 간행된 『영가지』에는 7개의 암자가 추가된 25개, 그리고 1771년에 간행된 이세택(1716-1777)의『청량지』에서는 25개의 암자 중 11개가 없어지고 14개의 암자가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조선중기 이후 성리학의 발달과 유교의 보편화로 인해 점차적으로 폐사되어 청량사와 부속건물인 응진전만 현존하고 나머지는 절터만 남게 되었다.

본 페이지의 관리부서는 청량산도립공원관리사무소 공원시설팀 (☎054-679-6661)입니다.최종수정일 : 2025.03.19

페이지만족도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성에 만족하시나요?

대한민국 명승 청량산도립공원문화탐방

불교유적페이지의 QR Code

<불교유적> 페이지의 홈페이지URL 정보를담고 있는 QR Code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