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로의 귀농 메인화면 이동
자유게시판 현재위치 : HOME > 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귀농에 대한 라디오방송국과의 짧은 인터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김희태
댓글 2건 조회 6,474회 작성일 09-04-30 22:56

본문

요즘 귀농인 간사를 맡아서 하고 있는지라

평소 접하지 않던 언론과의 인터뷰도 몇번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그저께 포항mbc라디오 열린세상 연출자로 부터 전화가 와서

인터뷰에 응하게 되었고 ...

다행인지 생방송은 아니고 한시간 정도전에 녹음해서 내보낸 답니다

너무 짦은 내용이라 ... 망설여 지지만

어차피 공중파를 탄 내용이라 올립니다

 

- 인터뷰내용-

 

수신: 봉화군 돌고개 농원 김희태 

발신: 포항 MBC 라디오 열린세상  


3년전 봉화로 귀농하여 농사짓고 있는 봉화군 돌고개 농원 김희태 사장(씨로 정정함) 전화 연결 되어 있습니다. 


  : 죄송하지만 사장이란 표현은 안 맞는 것 같군요

   아주 작은 규모의 농사를 짓고 있어서요

(ㅋㅋ  나중에 호칭을 정정하여 불필요 해짐 )


ann 1> 안녕하십니까? 귀농은 언제 하셨나요? 귀농을 하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요? 

 

  2007년 2월에 했습니다. 귀농을 결심 한뒤 회사일을 마무리 하고 5일 뒤에 시골로 이사했습니다. 물론 중간에 올 준비는 조금씩 하였고요

직장생활을 16년여간 하면서 보람된 일도 있었지만 무한경재의 삶 속에서, 출퇴근시 붐비는 인파속에서 외로움을 느끼며, 이렇게 계속 사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인지, 이렇게 살다 보면 나의 앞날은 어떠한 삶이 될까? 하고 종종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한번 뿐인 삶을 계속 이렇게 살기는 싫었습니다

보람 있는 제2의 삶을 찾던 중 농사가 제격이라 생각하여 귀농하게 되었습니다.



1-1> 현재 어떤 농사를 짓고 계시나요? 


사과농사를 짓고 있습니다. 밭도 조금 하고요


ann 2> 귀농에 성공하려면 준비도 있어야 할 것 같은데요. 어떤 것들을 고려해야 해야 할까요? 

 

개인의 사정에 따라 고려해야 할 것이 다르겠지만, 먼저 시골에 와서 농사를 지으며 경제적으로 안정된 삶을 살기 위해서는 수입과 지출에 대한 계획을 철저히 세워야 할 것입니다. 경제적으로 안정되지 못하면 마음도 불안해 지니까요. 

시골에 처음 오시는 분이 일반 농사를 지어서 그 소득으로 도시에서

영위하던 삶의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지출도 줄여야 하고요.  이 계획을 세우다 보면 영농에 대한 계획도 세우게 됩니다.


또, 중요한 것이 의식의 전환입니다.  일부 언론매체에서 소개되는 경제적으로 성공한 귀농인들을 표본으로 삶다 보면 불행해 질 수 있습니다  돈보다는 마음의 평안이랄까? ,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삶 속에서 행복을 찾겠다는 소박한 마음가짐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이완 관련한 서적이나 교육을 받으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다음으로 제일 중요한 것은 가족의 동의 일 것입니다

가족을 설득해 가는 과정에서 서로가 이해하게 되고 귀농의 준비도 더 하실수 있을 겁니다. 행복한 삶을 위해 실행하는 귀농이 다른 가족의 불행으로 이어지면 안되니 조금 시간이 더 걸리더라도 가족들과 이문제에 대해 깊이 있게 의논하고 같이 노력했으면 합니다 



ann 3> 많은 분들이 귀농을 생각하시만 사실 적응을 잘 할 수 있을까 걱정부터 하게 되는데요. 적응이 쉽지는 않지요? 


예, 쉽기만 하면 누가 고민을 많이 하겠습니까? 한번도 해보지 않은 농사를 잘 지을수 있을까 하는 고민부터 많은 고민을 하지요  그리고 반복되는 육체노동이 어떨 때는 엄청 힘들고 지루하게 느껴질 때도 있습니다  


3-1> 적응을 위해 노하우가 있다면 하나 소개해주시죠?


글쎄요 노하우랄 껄 까지는 없고, 초심을 잃지 않고 열심히 일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본인이 열심히 일하면 주위에서 도와주십니다. 먼저 도움을 바라고 하면 안되고요   



ann 4> 귀농을 생각할 때 농촌 민심을 생각하게 되는데요. 요즘도 농촌 민심은 변함이 없나요? 


아마도 텃세나 인정등을 염두에 두신 질문 같은 데요.  농촌도 사람이 사는 곳입니다. 다양한 사람이 살고 있지요. 하지만 도시보다는 단순합니다. 귀농자가 배려와 겸손, 그리고 성실한 자세로 살아간다면 민심걱정은 안해도 되고 환영받을 것입니다.  일부 개발지역에는 돈이 투입되서 그런지 이전만 못하다고 들었습니다. 제가 살고 있는 곳은 다행히 아주 좋은 편입니다.


ann 5> 젋은 부부의 경우, 아이들의 교육문제도 고려하게 되는데요. 교육환경은 어떤가요? 


역시 귀농자들이 고민을 많이 하는 부분이지요. 도시보다는 학원도 부족하고 교육에 대한 열의도 못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도시의 잣대로 볼 때 말이지요  

현실적으로 보통 초등학교나 중학교까지는 큰 문제가 없지만 고등학교 진학때부터 많은 고민을 하게 되고 외부의 큰도시로 유학을 떠나기도 합니다. 


ann 4> 또, 수입이 얼마나 되는지도 궁금한데요.. 요즘 농촌 상황이 많이 안좋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요... 어떤가요? 


수입문제를 얘기하자면, 판로가 중요한데요. 같은 농사를 지어 생산량이 같더라도 자신이 확보한 판로에 따라 소득의 격차가 클 수 있어서요. 

저는 직거래를 많이 하는 편이라 조금 나은 편입니다  약 2,000평에서 순수입 2,000만원 정도를 하고 있습니다. 돈을 더 버시려면 농사규모를 더 크게 하시거나 다른 사업성 있는 작목을 하셔야 되는데 그건 개인의 선택문제입니다.  좀 어려운 얘기라 짦게 말씀드리기가 힘듭니다.

한편, 일반 밭농사를 지으시는 분은 2,000평에서 1,000만원도 못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물론 그 이상 하시는 분도 계시고요

 

ann 5> 정부에서 귀농을 장려하기위해 정책적으로 지원을 많이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정부지원의 지원은 어떻게 되는지요? 


많은 정책을 제시하고 있지만 현재 제가 살고 있는 봉화군에서 시행하는 것을 말씀드리겠습니다.  겹치는 부분도 많고 실제 귀농자에게 직접적으로 혜택이 돌아 가지 않는 부분도 있고 해서요.


이사비용(100만원)과 빈집수리비(300만원 정부에서 500만원으로 상향할 예정), 귀농정착지원금(400만원)과 정착장려금(월 40만원씩 1년간 480만원), 농어업인 자녀 학자금, 출산장려금과 보조금, 귀농인턴사업시행(귀농자또는 예비귀농자가 농가에서 농사일을 배우며 일하면 6개월간 월 120만원씩 지급), 영농자금대출 그리고 제가 활동하고 있는 귀농인간사제도등 이외에도 많은 부분이 있습니다  왜람된 말씀이지만 처음부터 지원에 의지하려는 마음을 가지시면 안된 다고 보고요 

자신이 자립하려는 의지가 앞서야 성공적으로 정착하실 수 있다고 봅니다

지원책은 귀농인구의 유입과 아울러 정착을 돕기위해서 시행하는 것이라 여기시면 됩니다.


ann 6> 주위에 귀농을 생각하는 분들이 있다면 권하고 싶으시나요? 


이거 책임감이 따르는 부분이네요 . 저의 경우는 만족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한마디로 말씀드리기 어려운 부분입니다. 

하지만 충분히 고민하시고 고생할 각오가 되 있으신 분은 실행하셔도 됩니다.   귀농이 여러분 인생을 보람있게 해 드릴 수 있습니다. 도전 하십시오  

다만, 욕심은 조금 버리시고 ....  계획은 세우시기 바랍니다.



*작가님 참조입니다 

더 알고싶으시거나  의논이 필요하신 분은 이메일(heetae38@naver.com)이나 봉화군 귀농지원사이트인 ‘봉화로의 귀농(http://gobonghwa.com)’등을 통해 연락주시면 됩니다. 

 

*실제 인터뷰과정에서는 말로 하느라 내용이 조금씩 바뀌었습니다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봉화군이라는 단어도 꽤 많이 들어갔죠 ㅎㅎㅎ

댓글목록

profile_image

김현희님의 댓글

김현희 작성일

김희태 간사님..메스컴도 타고.. 밥 한끼 살려나 ㅎㅎㅎ
짧은 내용이지만 조목조목 말씀 잘 하셨네요. 고생 많이 하셨어요~

profile_image

김희태님의 댓글

김희태 작성일

생방송은 떨리는 대신 준비를 안해도 되는데 이것은 약간의 시간을 투자해야 되네요
그나저나 심도있는 프로그램이 별로 없는 것 같아요 귀농이라는 것에 대해 좀 더 심도있게
다루어야 하는데... 이러다 자칫 식상하게만 만드는게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  누구나 한번씩 지나
가듯이 의례적으로 귀농이라는 주제를 다루다가는 말이죠...


Copyright ⓒ 2009 by 봉화로의 귀농  All rights reserved.
사업자등록 : 512-83-00734 / 주소 : 우)36225 경북 봉화군 봉성면 농업인길 24
전화 : 054-679-6858, 054-679-6859 / 팩스 : 054-679-6849 / 메일 : lby06110@korea.kr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이보영